직접 메모리 접근 (Direct Memory Access, DMA)
DMA는 주변장치들(HDD,GPU,NIC 등)이 메모리에 직접 접근하여 읽거나 쓸 수 있도록 하는 기능으로서, 컴퓨터 내부의 버스가 지원하는 기능이다. 대부분의 경우, 메모리의 일정 부분이 DMA에 사용될 영역으로 지정되며, DMA가 지원되면 중앙처리장치가 데이터 전송에 관여하지 않아도 되므로 컴퓨터 성능이 좋아진다.
한편, PIO*는 DMA의 반대개념으로써, 장치들 사이에 전송되는 모든 데이터가 중앙처리장치를 거쳐가는 방식이다. DMA는 PIO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고안된 기능이다.
주변장치의 데이터는 장치 컨트롤러에 의해 로컬 버퍼로 이동한다. 그러나 전송할 데이터가 많은 경우, 많은 양의 데이터의 이동으로 인한 부담이 커지는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DMA를 이용한다. 장치 컨트롤러가 데이터의 한 블록을 이동시키는데 이 과정에서 DMA로 인해 CPU의 개입이 필요없게 된다. CPU에서는 데이터 이동이 완료되었다는 단 한 번의 인터럽트만 발생한다. 데이터가 전송되는 동안 CPU는 다른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어 효율성이 높아진다.
DMA는 과거 IBM의 특허 기술이었다(현재는 특허권 소멸).
PIO: Programmed Input/Outpu (프로그램 입출력)
'KNOWLEDGE BASE' 카테고리의 다른 글
MRTG (Multi Router Traffic Grapher)란? (0) | 2015.06.29 |
---|---|
Notepad++(노트패드) 한글깨짐 현상 (한글 -> ㅁㅁ) (0) | 2015.06.29 |
Interrupt (인터럽트) (0) | 2015.06.25 |
JSON(JavaScript Object Notation) / Parser (0) | 2015.06.25 |
POC / Pilot / BMT (0) | 2015.06.25 |